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Knowledge Tracing
- Private ML
- 딥러닝
- Machine Learning
- bert
- NLP
- Language Modeling
- AI
- attention
- Data Augmentation
- 머신러닝
- Homomorphic Encryption
- Transformer
- Residual Connection
- 동형암호
- Github Copilot
- Copilot
- Model Compression
- GPT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KT
- ICML
- Knowledge Distillation
- Computer Vision
- Pre-training
- 표현론
- math
- 자연어처리
- matrix multiplication
- Deep learning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NeurIPS (1)
Anti Math Math Club

이번 포스팅에서는 2018년도 NeurIPS에서 best paper award를 받은 Neural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이하 NODE, Neural ODE, ODE-Net, ODE Network)이라는 논문에 대해서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상미분방정식, ODE)란 미분 방정식 중에서 구하려는 함수가 하나의 변수에만 의존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서, 간단하면서 구체적으로 해를 구할 수 있는 경우로는 f가 z에 대한 행렬곱으로 주어지는 경우, 즉 인 경우이고 이때 해는 로 주어집니다. (행렬의 지수에 관해서는 위키피디아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ODE는 왜 갑자기 나오는걸..
Machine Learning & Deep Learning/Others
2020. 11. 27. 13:18